GoldNews

고려사, 고려사절요 비교 (원문 바로가기)

고려사 vs 고려사절요

원문 번역 바로가기

👇





고려사와 고려사절요 차이

고려사와 고려사절요 차이 및 특징

고려사와 고려사절요는 모두 조선 전기에 편찬된 대표적인 고려시대 역사서이지만, 편찬 목적, 체제, 내용, 서술 방식 등에서 뚜렷한 차이가 있다.

고려사

  • 편찬 시기/주도: 세종~문종 대(정인지 등)
  • 체제: 기전체(紀傳體)로, 왕의 연대기(세가), 인물 열전, 제도·문화 등 각종 분야별로 서술
  • 분량: 139권
  • 내용: 태조부터 공양왕까지 고려 왕조의 역사를 왕 중심으로 정리. 왕의 정치와 통치제도, 신하의 충신·간신 구분, 제도·문화 등 종합적 서술
  • 특징: 군주(왕) 중심의 역사관이 강하며, 객관적이고 종합적으로 고려 문물을 정리하려는 경향이 뚜렷함. 방대한 분량과 구조적 서술이 특징

고려사절요

  • 편찬 시기/주도: 문종 2년(1452), 김종서 등
  • 체제: 편년체(編年體)로, 해마다 일어난 일을 연·월순으로 기록
  • 분량: 35권
  • 내용: 고려 건국부터 멸망까지의 주요 사건을 연대순으로 간결하게 정리. 대신의 임명·파면, 상소문, 정치적 사건 등 군주에게 교훈이 될 만한 내용 강조
  • 특징: 신하(신료) 중심의 서술 경향이 강하고, 군주에게 교훈을 주려는 목적이 뚜렷함. 『고려사』의 축약본이 아니라 상호 보완적 관계. 사론(史論, 역사적 논평)이 많이 수록됨

표로 정리

구분 고려사 고려사절요
편찬 시기/주도 세종~문종, 정인지 등 문종 2년(1452), 김종서 등
체제 기전체(왕 연대기, 열전, 지 등) 편년체(연·월순 사건 기록)
분량 139권 35권
내용 왕 중심, 정치·문화·제도 등 종합적 서술 주요 사건을 연대순 간결하게 정리, 교훈적 성격 강조
특징 군주 중심, 방대한 분량, 구조적·종합적 서술 신하(신료) 중심, 교훈적 목적, 사론 다수, 상호 보완적
상호 관계 고려사절요와 보완 관계 고려사의 축약본이 아님, 보완적 사서